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ocket

(17)
도메인 이름을 이용해 IP 주소 얻기(gethostbyname) gethostbyname 함수의 이름 대로 이름에서 host 주소를 얻어 올 수 있는 함수다. 그렇다고 해서 꼭 IP주소만을 가져 오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struct hostent 라는 구조체를 이요해서 호스트의 대표이름, 별명, 주소의 타입, 주소 리스트들을 얻어 올수 있다. IPv4에서만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함수이며 다음 POSIX에서 퇴출 당할 가능성이 있다고는 하지만 여지껏 일반적으로 잘 사용 되어져 왔던 함수다. #include extern int h_errno; struct hostent *gethostbyname(const char *name); struct hostent { char *h_name; /* official name of host */ char **h_aliases; /*..
sendto & recvfrom TCP는 연결지향의 통신에 신뢰성을 보장하고 UDP는 비연결 지향의 통신에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 같은 지루하고 이론적인 이야기는 저기 나 보다 더 많이 공부하신 분들이 써 놓은 책이나 웹페이지에게 떠넘겨 버리고(http://en.wikipedia.org/wiki/User_Datagram_Protocol), 여기서는 유닉스계열 쪽의 UDP소켓 API의 사용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그에 발생 할 수 있는 예외 상황들을 다뤄 보고자 한다. UDP 통신은 위에서 언급했던것 처럼 말 그대로 비연결이다. 한글로 또박또박 풀어 쓰자면 연결하는 과정이 따로요 없다는 소리다. 어떻게 연결을 하지 않고 통신을 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한다면 TCP의 four-way handshake처럼 쌍방간에 연결을 맺었다는 ..
[socket] shutdown (half close) "Half-close"?? 절반만 닫는다는게 무슨 소리야? half-close의 의미는 소켓의 레퍼런스 카운트나 기타 등등 들은 유지한체 write stream이나 read stream만을 선별적으로 닫는다는 뜻이다. 그에 대한 API는 아래와 같다. #include int shutdown(int fd, int how); fd : half-close 하고자하는 파일 디스크립터 how : close 모드. 아래 값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SHUT_RD : 입력 스트림 종료. 상수 값 0 SHUT_WR : 출력 스트림 종료. 상수 값 1 SHUT_REWR : 입출력 스트림 모두 종료. 상수 값 2 도데체 이게 왜 필요한거지? 그냥 닫아 버리면 무슨 문제라도 생기나? 위와 같은 의문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
소켓 종료와 TIME_WAIT(Socket termination and TIME_WAIT) 오늘은 소켓의 종료와 그에 따라 발생하는 소켓의 상태 변화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다. 먼저 소켓은 생성될 때는 3-way hand shaking을 통해서 생성되지만, 종료 될때는 한단계 더 많은 4-way hand shaking을 거쳐 종료 된다. 위에서 분명히 4-way.. 4단계라고 이야기 했다. 그럼 어떤 4단계를 거치는지 알아 보자. 1. A가 B에게 연결 종료를 요청한다. 2. B는 바로 종료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ACK만을 날리고 있다. B도 종료 하기 전에 할 일이 있기 때문에 바로 FIN을 날리지 않고, 단순히 ACK를 날리고 CLOSE_WAIT 상태로 넘어 간다. 3. 볼일을 다 보고난 B는 이제서야 FIN을 날리고 연결을 종료 하고자 한다. 4. A는 B의 FIN을 잘 받았다는..
libevent and multithread /** libevet를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사용코자 했는데, 이것이 생각 처럼 동작 하지 않았다. connection이 하나만 들어 왔을 때는 정상동작 했지만, 둘 이 상이되면서 부터는 event_dispatch() 에서 1을 리턴(set 되어 있는 이벤트 가 없다라는 의미)하면서 계속 종료 되었다. 혹시나 싶어 libevent의 멀티 쓰레드 환경에 대해 찾아 보니 아래와 같은 글이 있어 짧은 영어 실력이나마 번역을 해 보았다. 혹시나 누군가가 잘 못된 내용을 진실로 받아 들이고 그걸 다른 사람에게 진실인양 전파 한다면 세상에 잘못된 지식들이 판치게 되고, 지식을 추구하 는 사람들에게 있어 그것만큼 나쁜 일이 없다. 아래의 글 중 잘 못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kukuta@gmail.com으로 알 려..
소켓 강제 종료시 파이프(pipe) 깨짐 상황 : 서버 프로세스가 떠 있고, 거기에는 수많은(이라고 해봐야 1000개 미만)의 클라이언트 들이 물려 있다. 서버는 select로 read 이벤트를 구분하고, 서버의 listen socket은 blocking이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다가 클라이언트(테스트 프로그램으로써 수백개의 connection thread를 생성 시켜 서버로 미친듯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놈)를 강제 종료 하면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파이프 깨짐'이라는 에러를 내고 서버가 종료 된다. 문제 : 프로세스는 종료(그것이 타의든 자의든)를 하게 되면 모든 열려있는 파일디스크립터를 닫게 된다. socket 역시 일종의 파일디스크립터이므로 예외는 아니다. 정상적인 수순을 따르자면 1. client가 죽는다. 2. 모든 열린 파일디스..
TIME_WAIT state vs SO_REUSEADDR option 아래와 같은 non-blocking socket 서버를 간단하게 나마 제작(말이 non-blocking이지 어차피 read에서 block되기 때문에 non-blocking이라고 하기에 상당히 민망함)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int argc, char** argv) { if(argc != 2) { std::cout

반응형